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여성이 82%…대부분 50대 이상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월평균 수입. 2025.03.25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에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82.4%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50대 이상(50대 36.4%, 60대 이상 43.4%)이 가장 많았다.
25일 서울시와 서울시복지재단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서울시 장애인활동지원사 처우 실태조사'의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했다.
앞서 시는 지난 2021년 12월 30일,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신체·가사·사회활동 등의 서비스 제공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처우개선을 위해 '장애인활동지원인력 처우 실태조사'를 3년마다 실시하도록 하는 조례를 제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서울시 소재 활동지원기관에 소속된 장애인활동지원사 30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웹과 모바일을 통해 실태조사가 진행됐으며, 46개 문항(5개 조사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는 방식이었다.
실태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여성이 82.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령대 분포는 60대 이상이 43.4%로 가장 많았으며 50대(36.4%), 40대(13.6%), 30대(5%), 20대(1.6%) 순으로 나타나 고령의 여성 활동지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시는 지난 2021년 12월 30일,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신체·가사·사회활동 등의 서비스 제공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처우개선을 위해 '장애인활동지원인력 처우 실태조사'를 3년마다 실시하도록 하는 조례를 제정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서울시 소재 활동지원기관에 소속된 장애인활동지원사 30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웹과 모바일을 통해 실태조사가 진행됐으며, 46개 문항(5개 조사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에 응답하는 방식이었다.
실태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여성이 82.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연령대 분포는 60대 이상이 43.4%로 가장 많았으며 50대(36.4%), 40대(13.6%), 30대(5%), 20대(1.6%) 순으로 나타나 고령의 여성 활동지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활동지원기관으로의 이직 또는 퇴사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0.2%가 '이직 또는 퇴사 의향이 없음'으로 응답했다. 활동지원사일을 그만두는 첫 번째 이유는 '저임금'(26.7%)이었으며, '이용자 가족과의 갈등'(25.5%), '이용자와의 갈등'(12.6%)이 다음을 이었다.
활동지원사 인권 향상을 위해 개선돼야 할 점 1위로는 '처우개선'(58.5%)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인권존중 및 인권교육 강화'(23.0%), '근로환경 개선'(9.1%), '활동지원 중계기관 전담인력 교육 강화'(4.3%), '근무지침 마련'(3.1%)' 순이었다.
시는 이러한 장애인활동지원사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활동지원사에 대한 처우를 개선하고 장애인 돌봄인력 전문성 확보 정책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장 만족도가 낮았던 '임금수준'에 대해서 시는 ▲고난도 돌봄 활동지원사 수당 월 30만원 ▲단시간 장애아동 수당 월 10만원 ▲명절·연휴 특별수당 1일 5만원 등의 지원방안을 올해부터 추진·실시하고 있다. 또 활동지원사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발달·뇌병변 등 장애 유형별 전문 심화 교육과정 개발에 착수하고, 활동지원사들에게 보수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하게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한편, 시는 활동지원 서비스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25일 4곳의 '중증장애인 전문 활동지원기관'을 개소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이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서울시 돌봄서비스 공공성 강화계획'에 따라 지정된 것으로 혼자 생활이 불가능한 와상마비, 심한 도전적 행동 등으로 인해 '고난도 돌봄'을 필요로 하는 중증장애인(100명 목표)과 활동지원사를 연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해당 기관을 통해 고난도 중증장애인을 돌보는 활동지원사 약 150명에게는 '고난도 돌봄 활동지원사 수당(월 30만원)'을 추가 지급한다.
이외에도 활동지원사 양성 교육과 전문 심화 보수 교육과정 의무화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기관 6개소를 지난해 12월에 추가 지정했고, 현재 교육생을 모집 중이라고 덧붙였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이번 조사는 서울시 활동지원사의 근무 환경과 처우 등 실태를 들여다보기 위해 처음으로 실시하게 됐다"며 "조사 결과는 서울시 중증장애인전문활동지원기관, 활동지원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활동지원기관 지정 심사 등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해 지속적으로 활동지원사의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 해나가겠다"고 말했다.